전상열 대표는 연세대학교 사회학을 졸업하였고, 현 네이버인 NHN에 입사하여 NHN Business Platform 마케팅전략본부를 거친 뒤, 앱디스코 사업총괄 실장과 스마일게이트 플랫폼 전략 팀장을 역임한 뒤, 현재는 나우버스킹 대표이다. 2015년에는 대한민국온라인광고제 스타트업대상에서 인터넷 진흥원장상을 받았고, 2016년에는 스마트미디어 대전 대상에서 미래부장관상을 받았고, K-GLOBAL 300대 기업에도 선정이 되었다. 또한, 2019년에는 인터넷 대상 사회공헌부분 수상을 하였다.
김기환 대표는 미국과 한국에서 원격진료 중심의 Medical Concierge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메디히어의 공동창업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16년도부터 가치있는 기업을 세워 존경받는 사람이 되자라는 미션과 IT기술로 의사와 환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의료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고, 의료산업을 혁신시키는 것의 비젼을 바탕으로 메디히어를 운영하고 있다. 메디히어는 한국에서 최초로 원격진료 플랫폼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뉴욕주를 중심으로 원격진료 멤버십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는 창업 이전에 SK Hynix의 Global Sales & Marketing(해외 영업마케팅 부문)에서 전략마케팅, 기술마케팅, 브랜드마케팅 업무를 하였으며, 한양대학교 물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김요섭 이사는 현재 우아한형제들 로봇사업실 실장으로 재직중이며 이 전엔 우아한 형제들 배민서비스 개발실 실장으로 역임하였다. 또, 이 전에는 SK플래닛 글로벌플랫폼 개발팀 팀장으로도 역임하였을 뿐만 아니라, 위메프 플랫폼개발실 실장, 앱디스코 CTO, 야후코리아 마켓플레이스(e) 파트장으로 역임한 이력이 있다.
김인순 더밀크 코리아 대표는 20년간 ICT분야 기자로 일했다. 전자신문 ICT융합부 데스크 출신으로 보안·소프트웨어 분야를 전문으로 취재한 베테랑 기자다. 2008년 중국의 한글공정 내용을 보도해 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한국수력원자력 도면 해킹 사건을 단독 보도하고 사이버 위협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기사로 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을 수상했다. 나노기술 연구 현장을 전달한 ‘나노브랜딩 시대’와 실리콘밸리 혁신 기업들을 취재한 책 ‘파괴자들 ANTI의 역습‘을 출간했다.
서범석 대표는 대표이사로서 회사 경영을 총괄하며, 루닛의 인공지능 기술을 제품화하여 전세계적으로 실제 환자 진료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KAIST 생명과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을 마친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보건학 석사와 MBA를 취득하였고, 풍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Hepatology, Annals of Oncology 등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3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습니다.
윤태식 국장은 2009년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통상정책과장을 거쳐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외화자금과장, 국제금융정책국 국제금융 과장, 개발금융국장(직무대리), 기획재정부 대변인을 거친 뒤,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을 맡고 있다.
이승준 대표는 서울 과학고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산업공학과를 졸업 한 뒤, A.T.Kearney에서 경영전략 컨설턴트를 역임하고, 2011년에는 Bain&Company에서 경영전략 컨설턴트를 역임하였다. 또한 2012년~2015년에는 카카오 전략지원팀장 및 신규사업 TF장을 역임하였으며, 다음과 카카오 합병 시, PM 역할을 맡았다. 이후 2015년에는 AmazeVR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하였고, 현재는 한국에 지사를 설립 중에 있다.
정용기 부센터장은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에서 이비인후과학 교실 교수를 역임한 뒤, 현재는 삼성서울병원 AI연구센터 부센터장 겸 이비인후과학 교실 교수를 재임하고 있다. 또한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표준진료지침위원회 위원장, 대한비과학회 홍보이사와 대한안면성형재건학회 연구이사에 재임하고 있다.
Co-Founder, Digital India Foundation
Global Future Council Member, World Economic Forum
혁신 전도사, 기술 기업가 겸 정책 자문위원
아빈드 굽타(Arvind Gupta)는 디지털 포용, 스마트시티, 인터넷거버넌스, 개인정보보호 및 사이버보안, 전자제품 제조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정책 싱크탱크 디지털인디아재단 (Digital India Foundation)의 공동창립자 겸 대표입니다. 현재 인도공과대학 바라나시 캠퍼스(IIT-BHU)에서 겸임교수로 ‘데이터·디지털경제’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인도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다양한 리더십과 정책 및 창업 등 다양한 부문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27여년간 업계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특히 소비자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결제시스템, 애널리틱스, 데이터 경제 부문에서 상당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글로벌 핀테크 100대 인플루언서로 선정된 바 있고 세계경제포럼 산하 ‘디지털경제사회에 관한 글로벌미래위원회(Global Futures Council on Digital Economy & Society)’ 위원, OECD의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s) 전문위원으로도 활동했습니다. 2014년에는 아이젠하워 글로벌 혁신 펠로우십을 수상했습니다. 또 IIT-BHU로부터 올해의 ‘데이터퀘스트 선구자’상과 ‘자랑스러운 100주년 동문’상을 수상했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참여적 거버넌스로 인도 국민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국민에게 정부 계획과 정책을 알리도록 하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이니셔티브 MyGov에서 CEO직을 맡았습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디지털,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이끌었으며 그 결과 모디 총리는 선거 역사를 새로 썼고 2014년 총선에서 과반의석(272석) 확보라는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인디아스택(IndiaStack)’을 폭넓게 추진해온 싱크탱크 ‘iSPiRT’ 창립자 그룹의 일원입니다. DBT 정책의 전국적인 실행을 이끈 사상적 리더 가운데 하나입니다. TiE와 NASSCOM의 정회원이며 iSPiRT의 창립멤버입니다. 또한 Amplify.ai, ApnaPay, Ideaswall 등과 같은 스타트업의 공동설립자이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업계 및 글로벌 포럼에서 연사로 자주 참여하고 있습니다. 인도공과대학(IIT)과 경영대학원, 혁신포럼에 객원 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고 인도의 저명 학술지와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세계경제포럼 등에 디지털 경제, 데이터 가치, 전자정부 혁신기술(GovTech)과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IIT-BHU에서 전자통신공학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미국 일리노이대학 어배너-섐폐인 캠퍼스에서 컴퓨터과학 석사학위와 MBA(재무/마케팅)를 취득했습니다.
Digital Fellow,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Senior Advisor, National AI Institute (US)
크리스토스 마크리디스(Christos A. Makridis) 교수는 컴퓨터 사회과학자이자 정책 자문위원, 기업가로서 스탠포드대학에서 경제학, 경영과학 복수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와 노동시장, 인간 번영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학술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이 경력과 함께 기술을 축적하는 방식, 학습동기에 정책이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술연구와는 별도로 폭스뉴스(Fox News), 리얼클리어폴리틱스(Real Clear Politics), 더힐(The Hill), 퀼레트(Quillette) 등의 매체에 자주 기고하고 있고 포브스(Forbes)지에 컬럼을 쓰고 있습니다. 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소속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현재 미 재향군인국 산하 국립인공지능연구소(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stitute)에서 선임연구자문위원, 애리조나주립대학에서 연구교수, 갤럽(Gallup)에서 선임자문위원, MIT 슬론경영대학원 ‘디지털경제 이니셔티브(Initiative on the Digital Economy)’에서 디지털 펠로우, 베일러대학 종교학연구소(Institute for Religious Studies)에서 비거주 펠로우, 민주주의수호재단(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베이코 바이리넨(Veikko Väyrynen)은 핀란드 알토대학(Aalto University)에서 산업경영학을 전공 중인 학생이자 유럽 내에서 가장 저명한 학생주도 창업활동단체 AaltoES의 부대표이다. ‘국제·학술관계’를 전문으로 하며 핀란드 정부부처의 학생창업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Kihwan Kim is the co-founder and CEO of Medihere, a healthcare startup that provides medical concierge and telehealth membership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Since 2016, Kim has run Medihere in accordance with his mission of being a respectable entrepreneur and the vision of utilizing IT technologies to connect medical professionals and patients in an efficient manner, to mitigate imbalances in medical data and to innovate the medical industry. Medihere, Korea’s first provider of telehealth platform, is expanding its telehealth membership service in the US, particularly in the state of New York. Before founding Medihere, he worked on strategic marketing, technology marketing and brand marketing in the Global Sales & Marketing of SK Hynix. He graduated with a bachelor’s degree in Physics from Hanyang University.
Joseph Kim currently serves as Head of Robotics Business, Woowa Brothers Corps. He previously served as Head of Development Team for Baemin Service at the same company. Before that, he has served as Head of Development Team for Global Platform at SK Planet, Head of Platform Development Team at Wemakeprice Inc., CTO at Appdisco, and part leader of Marketplace(e) at Yahoo Korea.
Insoon Kim, Managing Director of The Miilk Korea, has worked as a journalist in the ICT field over the past two decades. Having served as an editor at the Division of ICT Conversion, the Electronic Times, she is a veteran journalist specialized in the security and software fields. In 2008, she received the Journalist of the Month Award from the Journalist Association of Korea for her report on China’s “Hangeul Project.” In 2014, she once again received the Journalist of the Month Award for her exclusive report on the hacking of Korea Hydro & Nuclear Power (KHNP)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cyber security. She published her books “The Era of Nano Branding” on the field of nano-technology research and “Attack of ANTI” on innovative companies in Silicon Valley.
Brandon B Suh, CEO of Lunit Inc., is committed to commercializing the AI technologies of the company an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meaningful treatment of patients around the world.
He majored in Biological Sciences a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gradua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n he worked as a resid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became a specialist in Family Medicine. He earned a bachelor’s degree in public health and MBA. Based on his extensive research experience, he has published over 30 articles in several distinguishe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such as Hepatology and Annals of Oncology.
Director for Policy Coordination,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Since 2009, Taesik Yoon has served as Head of Trade Policy Division at International Economic Affairs Bureau, Head of Foreign Exchange Division and Head of International Finance Division at International Financial Policy Bureau, Acting Director General of Development Finance Bureau, Spokesperson and then Director General of International Finance Bureau at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Currently, he is serving as Director for Policy Coordination at the Ministry.
Steve Lee graduated Seoul Science High School and received a degree in Biological Science / Industrial & Systems Engineering a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Then he began his career as a business strategy consultant at A.T.Kearney. In 2011, he served as a business strategy consultant at Bain&Company. During the period of 2012-2015, he served as Head of Strategic Support Team and New Business TF Lead at Kakao, taking the role of PM for the merger between Daum and Kakao. In 2015, he founded AmazeVR in Silicon Valley, US and is currently setting up Seoul Office.
Sang Yeol Jeon earned a bachelor’s degree in Sociology from Yonsei University and joined NHN (now Naver), working for Marketing Strategy Department at NHN Business Platform. Then he served as Chief Business Officer at AppDisco and Head of Platform Strategy Team at Smilegate. Now, he is CEO of Nowbusking Company. In 2015, he won the President of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Prize in the Startup category at the Korea Online Advertising Festival (KOAF). In 2016, he won the Minister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Prize at the Smart Media X Fair and his company was selected as one of K-GLOBAL 300. And in 2019, he won the prize of Korea Internet Award in the category of Social Contribution.
Vice Director of Medical AI Research Center, Samsung Medical Center
Yong Gi Jung served as Professor of Otolaryngology at Samsung Changwon Hospital of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e currently serves as Vice Director of Medical AI Research Center and Professor of Otolaryngology at Samsung Medical Center. Also, he is currently serving as Chairman of the Critical Pathway Committee at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L-HNS), Public Relations Director of Korean Rhinologic Society and Research Fellow of Korean Academy of 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Sungjin Choi is Executive Director of Korea Startup Forum, the country’s biggest consortium of over 1,400 startups. He has served as Hea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Division at Daum Communication, Secretary General of Korea Internet Corporations Association and Chairpers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of Jeju, taking the initiative in promoting an innovative ecosystem for the IT & Startup industry.
Co-Founder, Digital India Foundation
Global Future Council Member, World Economic Forum
Innovation Evangelist, Technology Entrepreneur and Policy Advisor
Arvind Gupta is the Head and Co-Founder of Digital India Foundation, a policy think tank working in areas of Digital Inclusion, Smart Cities, Internet Governance, Data Privacy & Cyber Security, Electronics Manufacturing. He is an Adjunct Professor at IIT-BHU, teaching “Data and Digital Economy”.
He has over 27 years of industry experience, having worked in diverse sectors in variety of leadership, policy and entrepreneurial profiles in India and Silicon Valley, USA. He has considerable experience in Consumer Internet, Digital Media, Payment Systems, Analytics and Data Economy. He has been on the Global FinTech Top100 list of Influencers and also the Member of World Economic Forum’s Global Futures Council on Digital Economy & Society, OECD Expert Member of Global Value Chains. He has been awarded the Eisenhower Global Fellowship for Innovation for year 2014. He has been awarded the DataQuest Pathbreaker of the year award and Distinguished Centenary Alumni award from IIT-BHU.
In his last role, he was the CEO of MyGov, an initiative of the Prime Minister Shri Narendra Modi, to Empower Citizens of India with Participative Governance and Digitally communicate Schemes and Policies to all Indians.
He led the Digital, Social Media and Communication Campaign for PM Narendra Modi, which resulted in PM Modi creating electoral history and achieving its Mission 272+ in 2014 Elections.
He is Member of Founder’s Circle of iSPiRT, which has worked extensively on the “IndiaStack”. He is one of the thought leaders in implementing DBT throughout India. He is an active member of TiE, NASSCOM and Founder Member of iSPiRT. He also co-founded startups such as amplify.ai, ApnaPay, Ideaswall amongst others. Mr. Gupta is also a frequent speaker at various industry and Global forums. He is visiting faculty at IIT, Management Schools, Innovation Forums and has published many articles on #DigitalEconomy, Value of Data, #GovTech in leading papers of India, Harvard Business Review and World Economic Forum
Mr. Gupta graduated with a degree i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from IIT-BHU, Varanasi. He has a Masters in Computer Science and MBA (Finance & Marketing) from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Digital Fellow,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Senior Advisor, National AI Institute (US)
Christos A. Makridis is a computational social scientist, policy adviser, and entrepreneur with dual doctorates from Stanford University in Economics and Management Science & Engineering. His academic research is concentrat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digital economy, labor markets, and human flourishing with a special focus on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accumulate skills over their careers and the effects of policies on the incentives to learn. In addition to his academic research, Christos publishes frequently in the media, including Fox News, Real Clear Policy, The Hill, Quillette, and writes a column for Forbes. Christos has served on the White House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and currently serves as a Senior Research Adviser for the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stitute in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a Research Professor at Arizona State University, a Senior Adviser at Gallup, a Digital Fellow in the Initiative on the Digital Economy at the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a Non-resident Fellow in the Institute for Religious Studies at Baylor University, and a Visiting Fellow at the 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
Veikko Väyrynen is an Industrial Management student at Aalto University and the Vice President of Aaltoes, which is the most prominent student-run entrepreneurship organization in Europe. He specializes in International and Academic Relations and leads a Finnish Ministry’s project on student entrepreneurship.
Recently named by Fortune as one of the “World’s 50 Greatest Leaders,” Peter Diamandis is the founder and executive chairman of the XPRIZE Foundation, which leads the world in designing and operating large-scale incentive competitions. He is also the executive founder of Singularity University, a graduate-level Silicon Valley institution that counsels the world’s leaders on exponentially growing technologies.
As an entrepreneur, Diamandis has started over 20 companies in the areas of longevity, space, venture capital and education. He is also cofounder of BOLD Capital Partners, a venture fund with $250M investing in exponential technologies.
Diamandis is a New York Times Bestselling author of two books: Abundance – The Future Is Better Than You Think and BOLD – How to go Big, Create Wealth & Impact the World. His newest book in this series of exponential technologies—The Future is Faster Than You Think—which was released in January 2020.
He earned degrees in molecular genetics and aerospace engineering from the MIT and holds an M.D. from Harvard Medical School.
Diamandis’ favorite saying is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create it yourself.”
Currently with WHO, Sameer is working with the newly established Department of Digital health and Innovations helping the creation of the department and the development of Global Digital Health Strategy and Action Plan. He is also one of the co-creators of the Be He@lthy Be Mobile initiative which is flagship WHO and ITU joint program on use of mobile health for scale. Most recently the Be He@lthy Be Mobile team was coveted with the DG’s Reward for excellence for 2016 and the Greenpeace Innovations Award in 2018. With WHO since 2008, he has also provided technical advise and support to over 50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health and information system programs. Sameer is currently the Vice-Chair of the WHO ITU Focus group on AI for health which is creating benchmarking for AI solutions for health. In addition he is also a core member of the Health Data Forum at WHO. With regards to the Covid response, WHO is co-leading the tech4covid on citizen and community engagement track from WHO. Sameer has worked to support more than 50 countries build information and digital health systems and solutions over the past 20 years.
Before coming to WHO, he worked with the US Governments health agency helping various countries build informatics systems for immunization and vaccination programs in Asia Europe and Africa. He started his career working with WHO’s National Polio Surveillance Project in India for 7 years, where he le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for surveillance across the country.
He holds bachelor degrees in business and software engineering and a master’s degree with a gold medal in management, he also has an earned fellowship in public health informatics from the US government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has delivered at various forums and published several articles on digital health and frugal innovation.
Heejae Ahn is a partner in Bain & Company’s Seoul office.
Since joining Bain & Company in 2009, he has served clients in a wide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heavy industry (shipbuilding, steel, and electric system), consumer products. He has extensive experience in corporate strategy such as full potential strategy, new business strategy and global expansion strategy. He also has led organization and corporate culture projects for change management, organization transformation.
안희재 베인앤드컴퍼니 서울사무소 파트너는 2009년 입사 후 중공업(조선, 철강, 전력), 소비재 등 광범위한 업계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활동해왔습니다. 안희재 파트너는 최대 잠재치 전략, 신사업 전략, 글로벌 확대 전략 등의 기업 전략 분야에서 풍부함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변화관리, 조직변혁을 위한 기업 조직문화 프로젝트를 주도했습니다.
최근 <포춘> 선정 ‘세계 최고의 리더 50인’ 중 하나인 피터 디아만디스(Peter Diamandis)는 대규모 인센티브 경연대회 기획 및 운영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엑스프라이즈재단의 설립자 겸 이사장입니다. 또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대학원 과정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기술에 관하여 전세계 리더들에게 조언을 제공하는 싱귤래리티대학의 공동창립자이기도 합니다.
디아만디스는 기업가로서 장수, 우주, 벤처캐피탈, 교육 분야에서 20여개의 기업을 창업했습니다. 게다가 기하급수적 기술에 투자하는 2억5천만 달러 규모의 벤처펀드, 볼드캐피탈파트너스(BOLD Capital Partners)의 공동창립자입니다.
뉴욕타임즈 선정 베스트셀러 저자로서 『어번던스(Abundance)』와 『볼드(BOLD)』를 집필했습니다. 기하급수적 기술과 관련한 최신작 『The Future is Faster Than You Think』는 2020년 1월에 출간되었습니다.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분자유전학과 항공우주공학 학위를 취득했고 하버드의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든 것이다”라는 격언을 남겼습니다.
새미어 푸자리(Sameer Pujari)는 세계보건기구(WHO) 소속으로 최근 신설된 디지털헬스·혁신부서에서 활동 중이며 해당 부서의 출범과 ‘글로벌 디지털헬스 전략 및 실행계획’ 수립에 일조했습니다. 또한 규모의 모바일 헬스 사용에 관한 플래그십 WHO/ITU 공동프로젝트 Be He@lthy Be Mobile 이니셔티브의 공동 설립자입니다. 최근 Be He@lthy Be Mobile 팀은 2016년 WHO 사무총장상과 2018년 그린피스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2008년 WHO에 합류한 이후 50여개 국가 내의 정보·디지털헬스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술자문과 지원을 제공해왔습니다. 현재 헬스 인공지능 솔루션의 벤치마크를 제시하는 ‘헬스 인공지능 관련 WHO/ITU 포커스그룹(FG-AI4H)’의 부의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WHO ‘헬스데이터포럼(Health Data Forum)’의 핵심구성원이기도 합니다.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WHO는 시민과 지역사회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Tech4covid를 공동 주관하고 있습니다. 새미어 푸자리는 지난 20여년 동안 50여개 국가의 정보·디지털헬스 시스템 및 솔루션 구축을 지원해왔습니다.
WHO에 합류하기 전에는 미국 정부 산하 보건기구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국가를 도와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지역 내 면역·백신 프로그램을 위한 인포매틱스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WHO의 인도 내 국립소아마비감시프로젝트(NPSP)로 경력을 쌓기 시작한 그는 7년 간의 활동을 통해 인도 전역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관리시스템 개발 및 이행을 주도했습니다.
Hyojin Lee received a degree in mathematics from POSTECH in 2006 and joined Woori Bank.
In 2014, she founded 8Percent in which she serves as CEO.
Currently, she is a steering member of Korea Startup Forum and serves as a member of Board of Directors of Korea Internet Corporations Association.
Director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OECD
Andrew W. Wyckoff is the Director of the OECD’s Directora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where he oversees OECD’s work on innovation, business dynamics,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olicy as well as the statistical work associated with each of these areas. His experience prior to the OECD includes positions at the US Congressional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OTA), the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and The Brookings Institution.
He has served as an expert on various advisory groups and panels which include joining the Global Board of Trustees of Digital Future Society (DFS), being a Commissioner on the Lancet/FT Governing Health Futures 2030 Commission, the International Advisory Board of the Research Council of Norway and Head of OECD’s Delegation at the G20 and G7 meetings on ICT and Digital Economy.
Director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OECD
앤드류 와이코프(Andrew W. Wyckoff)는 OECD 과학기술혁신국장(STI)으로 OECD의 혁신, 기업 다이내믹, 과학과 기술,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각 분야와 관련된 통계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OECD이전에는 미국 의회의 기술평가처(OTA), 미국립과학재단(NSF) 및 브루킹스 연구소에 재직했다. 디지털 미래 학회(DFS) 글로벌 운영위원, 랜셋/FT 건강한 미래 운영 2030 위원회 위원장, 노르웨이 연구 위원회 국제 자문위원, G20 및 G7 정보통신기술 및 디지털경제회의에서OECD 대표단장을 맡는 등 다수의 자문단과 패널에서 전문가로 활동한 바 있다.
D.K. Donghwan Kim is the first generation expert on search in Korea,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 search engine sector. He first became involved with search portal called Empas in 1999 and then led Nate/Cyworld search engine in SK Communications. Kim started his initial career as a developer and went on to gain experiences in all areas of business operations including planning/operation, strategy, marketing, and business projects. Built on his experience, Kim found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 called 42Maru, which provides a deep semantic QA platform and continues to take on new challenges and innovate. 42Maru ranked no.1 with Google AI team in the Machine Reading Competition (MRC) SQuAD 2.0, proving its technological excellence and is currently implementing various AI platform projects with large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김동환 대표는 1999년 엠파스라는 검색 포털을 시작으로, SK Communications에서 네이트/싸이월드 검색을 총괄하며 검색 업계에서만 20년 이상을 몸 담은 대한민국 검색 1세대 전문가다.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하여 기획/운영, 전략, 마케팅, 비즈니스 등 사업 전분야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딥 시맨틱 QA 플랫폼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포티투마루를 창업하여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포티투마루는 글로벌 기계독해(MRC) 경진대회 SQuAD 2.0에서 구글 AI팀과 공동 1위를 달성하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국내외 대기업 및 기관들과 AI 플랫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Vice Director, Finnish Cent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Petri Myllymäki is a profess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t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of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He is also the Director of the Helsinki 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HIIT), the vice-Director of the Finnish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FCAI), and the Director of the Helsinki Doctoral Education Network in ICT (HICT). Prof. Myllymäki has over 30 years of experience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He has been an editorial board member, program chair, committee member and reviewer for numerous international scientific journals, conferences and organizations, and he has published over 150 scientific articles in his research area. He is a co-founder of companies Ekahau, BayesIT, Cloud’N’Sci, Etsimo and Sightful, and has also been responsible for several applied research projects that have led to a number of fielded applications and patents.
Vice Director, Finnish Cent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페트리 밀리마키(Petri Myllymäki)는 핀란드 헬싱키 대학 컴퓨터과학부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학과 교수이며 헬싱키정보기술연구원(HIIT) 원장, 핀란드 인공지능센터(FCAI) 부원장, 헬싱키 정보통신기술박사교육네트워크 (HICT)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공지능연구분야에서 30년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밀리마키 교수는 다수의 국제 과학 학술지의 편집위원, 프로그램 좌장, 위원회 위원 및 검토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전공분야와 관련된 과학 논문 150여편 이상을 발간했다. Ekahau, BayesIT, Cloud’N’Sci, Etsimo 및 Sightful 등과 같은 회사의 공동설립자이자, 직접 총괄했던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는 다양한 현장에 적용되고 특허를 득하는 등의 성과로 이어졌다.
Vesa Perala is the founder & CEO of Claned, which is a complete digital learning solu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current knowledge capital of personnel and comparing it to the strategic skills and competences needed in the future. At Claned, he built personalized learning paths to all employees to achieve those strategic skills effectively. Vesa is a serial enterpreneur and active investor and advisor in Finnish startup ecosystem.
베사 페랄라 대표(Vesa Perala)는 직원들의 현재 지식 자본을 측정하여 미래에 필요한 전략적 기술/역량과 비교분석이 가능한 종합 디지털 학습 솔루션인 클라네드(Claned)의 창립자 겸 대표다. 모든 직원들이 전략적인 기술을 효과적으로 갖출 수 있는 맞춤화된 학습 경로를 구축했다. 페랄라는 연쇄창업가(serial entrepreneur)이자 적극적인 투자자이며, 핀란드 스타트업 생태계의 자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진하는 대한민국 출신의 디자이너, 공학자이다. 현재 증강현실 협업플랫폼 을 만드는 스페이셜 (Spatial) 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 제품책임자 (Chief Product Officer) 이다. 홀로렌즈 2를 공개하는 마이크로소프트 CEO 키노트에 홀로그램으로 등장하여 스페이셜을 시연하였다. 스페이셜은 우버와 인스타그램의 창업자와 삼성 넥스트 등에게 270억을 투자 받았고, 현재 마텔, 네슬레 등 많은 포츈1000 회사들의 원격 협업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페이셜은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자택근무를 하는 사용자들을 돕기위해 전세계에 플랫폼을 무료로 개방하여서 화제가 되었다.
이진하는 MIT Media Lab 시절, 손을 넣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컴퓨터 SpaceTop, 그리고 만질수있는 컴퓨터 픽셀 ZeroN 등의 작업이 알려져, TED 에 초청받아서 발표하였다. 삼성전자에서 인터랙션그룹을 설립해 TV 스크린을 협업, 데이터, 예술등을 경험할 수 있는 Lifestyle Device 로 바꾸는 UI의 연구를 이끌었다. 27세에 최연소 수석연구원 / 그룹장으로 역임하였다. MIT 시절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계 Bradley Timepiece 를 공동디자인하여서 Kickstarter 에서 가장 성공적인 디자인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MIT Technology Review 에서 선정한 35 세이하의 혁신가 35인, 그리고 세계 경제포럼의 차세대 리더, FastCompany 가 선정한 현존하는 세계최고 디자이너 32인, Forbes Asia 의 30 under 30 리스트 등에 선정되었다.
Jinha Lee is a designer and engineer from the Republic of Korea. Lee is the co-founder and chief product officer of Spatial, which developed a leading VR/AR collaboration platform. He demonstrated Spatial’s technology while featuring as a hologram during Microsoft CEO’s keynote address during the unveiling of HoloLens2. Spatial received 27 billion won investment from Uber, Instagram’s founder, and Samsung NEXT, and currently is used for remote collaboration by many Fortune 1000 companies including Mattel, Nestle, etc. Recently, Spatial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by opening up – for free of charge- its platform to global users working at home due to Covid-19 pandemic.
While at MIT Media Lab, recognized for his invention SpaceTop, a gesture-controlled 3D computer that allows a user to reach inside the scree and ZeroN, a tangible computer pixel, Lee was invited and presented them at TED. At Samsung Electronics, Lee established an interaction group and led a research on UI with a goal to transform a TV screen into a Lifestyle Device providing experiences on collaboration, data and art. He was the youngest principle researcher/group leader at the age of 27. During his MIT years, Lee co-designed The Bradley timepie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was select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design projects in Kickstarter.
Lee was named one of the “35 innovators under 35” by the MIT Technology Review, a “Young Global Leader” by the World Economic Forum, one of the “32 greatest living designers” by Fast Company and listed on the Forbes 30 under 30 Asia List.
손재권 더밀크 대표는 2019년 실리콘밸리 혁신 미디어 더밀크를 창업했습니다. 손 대표는 매일경제신문 특파원, 실리콘밸리 액셀러레이터인 미라클51 이사, 스탠퍼드대학 방문 연구원으로 오랜 기간 실리콘밸리에 머물며 혁신 기업과 최신 테크 트렌드, CES를 비롯한 주요 테크 컨퍼런스를 취재했습니다. 실리콘밸리 혁신 기업들을 취재한 책 ‘파괴자들(Disruptors)’을 집필했습니다.
Jae-Kwon SON, CEO of The Miilk, founded his innovative media company in Silicon Valley in 2019. He spent a long time in this global center for high technology, reporting up-to-date technological trends and global major tech events, like CES, while he worked as a former Silicon Valley correspondent at Maeil Business Newspaper, a Korean major business media, as well as a director of MiraKle51, an accelerator in Silicon Valley, and a visiting scholar at Stanford University. He even wrote a book Disruptors, which features truly disruptive businesses of the high-tech hub he covered.
Naomi Lee is a Senior Executive Editor at The Lancet. She heads the research section of the journal, lead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strategy for The Lancet, and advising on the research content of the other journals in the Lancet family of journals. Naomi handles peer review and commissioning across a broad range of subjects including her specialist areas of surgery, digital medicine/AI, and medical technology. She is also a vice chair for the ITU/WHO Focus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ealth.
Naomi joined The Lancet in 2014 and was previously an Executive Editor where alongside editorial work she led on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Lancet group, delivering a responsive website. Previously she studied medicine at Cambridge University and King’s College London, before training in surgery, specialising in urology and working for almost 10 years in the UK. She has completed fellowships in Argentina and Mexico. She has also studied data science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나오미 리(Naomi Lee)는 영국 의학 저널 ‘랜싯(The Lancet)’의 수석편집위원(Senior Executive Editor)이다. 랜싯의 연구분야 총괄로 연구 전략의 개발 및 실행을 지휘하고, 랜싯 계열에 속하는 기타 저널들에 연구 콘텐츠 자문도 제공하고 있다. 나오미는 본인의 전문 분야인 수술, 디지털 의학/AI, 의료 기술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주제들에 대한 동료검토(peer review) 및 연구용역(commissioning)을 담당한다. 건강을 위한 인공지능 담당 ITU/WHO 포커스그룹(ITU/WHO Focus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ealth)의 부의장도 맡고 있다.
2014년 랜싯에 합류했으며 현 보직 이전에는 편집위원(Executive Editor)으로 편집 업무와 함께 랜싯 그룹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며 반응형 웹사이트를 구축했다. 캠브리지 대학(Cambridge University)과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수술 훈련을 받고, 비뇨기학을 전공해 영국에서 거의 10년을 근무했다. 펠로우십은 아르헨티나와 멕시코에서 마쳤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데이터 사이언스도 공부했다.
류정혜 부사장은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전략 마케팅 그룹장과 부사장을 겸하고 있다. 이전에는 카카오페이지의 CMO와 부사장으로 근무하였으며, TOSSLAB 마케팅 책임, NHN과 NAVER 마케팅 인사이트 리더, FREECHAL 아바타팀 팀장 등으로 근무하며 마케팅에 있어서 다년간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Jeong Hye Ryu is Kakao Entertainment VP of Strategic Marketing. She worked as CMO and Vice President of Kakao Page. She was head of marketing at TOSSLAB and Marketing Insight leader of NHN. Previously, she also worked as Market Insight leader of NAVER marketing and leader of Avatar team at FREECHAL
세바스찬 드가이 (Sébatien Deguy)는 어도비 3D&Immersive 부문 부사장으로, 어도비 합류 전 서브스턴스(Substance)로 잘 알려진 알레고리드믹(Allegorithmic)의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로 역임했다.
그는 2002년 프랑스 중부 도시 클레르몽페랑(Clermont-Ferrand)에서 알레고리드믹을 창립해 게임, 영화, TV, 유통 및 마케팅 등 업계 전반에서 알레고리드믹을 제작 분야의 표준으로 성장시켰다.
알레고리드믹은 맵존(MapZone), 프로FX(ProFX), 리덕스(Redux), 서브스턴스 에어(Substance Air) 등 다양한 툴을 출시해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여러 산업에서 대표 텍스처링 솔루션이자 툴로 자리매김한 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와 서브스턴스 페인터(Substance Painter)를 출시한 바 있다.
한국, 미국, 캐나다, 중국, 인도, 호주에 진출하며 글로벌 확장을 거듭해 온 알레고리드믹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1월 어도비에 인수됐다. 이후 세바스찬드가이는 어도비의 3D 및 몰입형 디자인 부문 부사장으로 재임 중이다.
세바스찬 드가이는 프랑스 오베르뉴 대학교(Universite d’ Auvergne)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며 박사 학위를 받았고,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에서 혁신 및 기업가 능력 인증 프로그램(Stanford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Certificate Program)을 수료했다.
최윤섭 대표는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적인 전문가로, 활발한 연구, 저술, 투자, 자문 및 강연 등을 통해 국내에 이 분야를 처음 소개한 장본인이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과 생명과학을 복수전공하였으며 동 대학원 시스템생명공학부에서 전산생물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스탠퍼드대학교 방문연구원, 서울의대 암연구소 연구조교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조교수 등을 거쳤다. 『사이언스』를 비롯한 세계적인 과학 저널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16년 국내 유일의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전문 초기 투자사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를 공동 창업하고, 대표를 맡아 여러 의료 전문가들과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다. 식약처, 심평원의 전문가 자문위원이며,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이미 시작된 미래』, 『의료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의 미래』 등을 집필했다.
Yoonsup Choi is a representative expert in digital healthcare field in Korea, and he is the one who first introduced this field to Korea through active research, writing, investment, consulting and lectures. He double majored in computer science and biology at POSTECH, and obtained a Ph.D. in computational biology from POSTECH. He served as a visiting researcher in Stanford University, a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at Biomedical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e published more than 10 research articles in major scientific journals including 『Science』. Yoonsup Choi is co-founder and a managing partner of Digital Healthcare Partners (DHP), the only investment firm dedicated to digital healthcare startups in Korea. He is an expert advisor to the regulatory bodies in Korea including the MFDS and HIRA, and is the author of best-selling books including 『Healthcare Innovation』,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Healthcare: The Future of Medicine』.
Youngin Kim is CEO of Noom, Inc. and adjunc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dical Life Systems Information. He was policy director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also president of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Health Doctors. He graduated from College of Medicine at Yonsei University.
최두아 대표이사는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 학사를 취득하여, 2005년 ㈜휴피스소프트 신규사업팀장, 2007년부터 2009년에는 네이버 멀티미디어검색팀장을 역임하고 현재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인 ㈜휴레이포지티브 대표이사로서 회사를 이끌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14회 의료기기의 날 기념 국무총리 표창 수상, 보건복지부 의료분야 마이데이터 추진위원회 위원, 건국대학교 창업대학 외래교수, 삼성경제연구소 디지털 헬스케어 초청 연구원, 연세벤처포럼 정회원,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파트너, 디지털 헬스케어 연합 포럼 이사, 4차 산업혁명위원회 디지털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위원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Doo-Ah Choi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Arts, Business Administration,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at Yonsei University. He worked as head of New Business Team at Hupissoft Co., Ltd. From 2005 to 2007. Since then, he has served on Naver Co., Ltd. as head of Multimedia Search Team. In 2010, he founded Huraypositive Corp.,, a digital healthcare startup.
He has been awarded Prime Minister’s Citation on the 14th Day of Medical Device. He is member of Healthcare My Data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djunct professor of Startup School of Konkuk University and digital healthcare visiting fellow a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ull member of Yonsei Venture Forum, Partner of Digital Healthcare Partners, Director of Digital Healthcare Alliance Forum and member of Fo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Healthcare Special Committee.
유병준 교수는 1994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 아리조나 주립대학 경영학사, 2003년 카네기멜론대학교 경영정보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2014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20년 1월부터 서울대학교 AI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실무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벤처창업학회 부회장, 한국벤처투자 민간사외이사, Korean Chapter of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공동회장을 역임 중이다.
Byungjoon Yoo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4 and holds a Ph.D. in Infromation Systems from Tepper Business School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and a Master’s Degree i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College of Business and Public Administration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He teach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s a Professor. He also a board member of AI Committe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External Director of Korean Venture Investment Corporation and Co-President of Korean Chapter of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Business Development Team Leader of Viva Republica
Joonghee Shin is leader of Business Devlopment Team at Viva Republica(TOSS). Previously, he worked as team manager of Business Development Team at NBT from 2015 to 2019.
박재성 이사는 현재 우아한형제들 우아한테크코스 이사로, NEXTSTEP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자로 함께 재직중이며 이전엔 NHN NEXT, 코드스쿼드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자로 역임했다. 뿐만 아니라 네이버, XLGames 등에서 12년 동안 웹 백엔드 개발자로서 역임한 이력이 있으며, 출판 이력으로는 ‘성공하는 프로그래밍 공부법’.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st Step’이 있다.
Jae Sung Park is Director of Woowa Bros and Software trainer at Woowahan Tech Course, NEXTSTEP. Previously, he worked as Software trainer at NHN NEXT, CODESQUAD, and Web backend developer for 12 years at NAVER, XLGames, and etc. He published ‘How to Study Programming’ and ‘Java Web Programming Next Step’.
최지은 박사는 경제학자이자 정책 전문가이다. 현재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 국민성장 분과 위원이자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과거 11년간 세계은행(World Bank)과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에서 시니어 이코노미스트 (Senior Economist) 로 활동했고, 동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동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산업, 통상, 디지털 경제, 일자리, 성장 등의 분야 정책 자문 및 차관 사업을 지휘하였다. 하버드 케네디 스쿨 석사, 옥스포드 대학교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Jieun Choi is a South Korean economist and politician. Throughout her career working with govern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rivate sectors, she has advised the policy makers of 30+countries in Asia, Europe and Africa. Currently, she advises on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as a Commissioner of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Policy Planning, and teach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s a Visiting Professor. Previously, she worked as a senior economist at the World Bank and African development Bank, advising and supporting the policy makers, from the highest level, from fragile states to high-income economies in multiple regions, on policies and projects to boost trade, growth, jobs and inclusion. She published applied research studies and books on industrial policies, growth, innovation, trade, jobs, and inclusion. She holds a PhD from Oxford and a Master’s Degree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MPA/ID) from Harvard Kennedy School.
데이터 과학자, ORCAA 대표 (알고리즘의 위험성을 측정하는 기업),
Netflix ‘소셜딜레마’ 출연진
캐시 오닐은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이자 전미도서상 준결승 후보작이었던 “대량살상 수학무기: 어떻게 빅데이터는 불평등을 확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의 저자다. 미국 블룸버그 오피니언의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며 알고리즘 감사 회사인 ORCAA의 설립자이다. 오닐은 소셜 네트워킹의 위험성을 탐구하는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은 영화 The Social Dilemma에서 이 분야 전문가로 출연해달라는 제의를 받기도 했다.
하버드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MIT에서 수학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고 버나드 칼리지 교수로 재직하며 산술 대수 기하학에 관한 여러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후 민간 부문으로 옮겨 신용위기가 한창이던 시절 헤지펀드 그룹 D.E. Shaw에서 정량 분석가로 일했고, 다음으로는 헤지펀드 보유 및 은행의 위험을 평가하는 위험 소프트웨어 회사인 RiskMetrics에 재직했다. 2011년 금융분야를 떠나 뉴욕 스타트업 업계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일하기 시작하며 사람들의 구매와 클릭을 예측하는 모델을 수립했다.
캐시는 2013년 “데이터과학 인문”를 집필했고 2014년 컬럼비아 대학교 데이터 저널리즘 과정에리드(Lede)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Data Scientist, Founder of ORCAA (O’Neil Risk Consulting & Algorithmic Auditing)
Cathy O’Neil is the author of the New York Times best-selling Weapons of Math Destruction: How Big Data Increases Inequality and Threatens Democracy, which was also a semifinalist for the National Book Award. She is a columnist for Bloomberg Opinion and founded the company ORCAA, an algorithmic auditing company. O’Neil was tapped to appear as a professional in her field in The Social Dilemma, a critically-acclaimed film that explores the dangers of social networking.
She earned a Ph.D. in math from Harvard, was a postdoctoral fellow in the MIT math department, and was a professor at Barnard College where she published a number of research papers in arithmetic algebraic geometry. She then switched over to the private sector, working as a quantitative analyst for the hedge fund, D.E. Shaw, in the middle of the credit crisis, and then for RiskMetrics, a risk software company that assesses risk for the holdings of hedge funds and banks. She left finance in 2011 and started working as a data scientist in the New York start-up scene, building models that predicted people’s purchases and clicks.
Cathy wroteDoing Data Sciencein 2013 and launched the Lede Program in Data Journalism at Columbia in 2014.
김슬아 대표는 Kurly의 대표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Wellesley College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Goldman Sachs에서 근무하였으며, 그 후 McKinsey & Company, Temasek Holdings 및 Bain & Company에서 근무하였다. 2015년 Kurly를 설립하고, 야채, 과일 및 해산물 등 신선식품을 오늘 배송하면 내일 아침 도착하는 ‘샛별배송’을 시작했다.
Chairman of Korean Startup Forum, CEO & Founder of Kurly
Sophie Kim majored in politics at Wellesley College from 2003 to 2007. She started her career at Goldman Sachs from 2007 to 2010. Since then, she has served on McKinsey & Company, Temasek Holdings, and Bain & Company. In 2015, she founded Kurly and launched ‘Next Morning Delivery’ which delivers fresh foods such as vegetables, fruits, and seafood to the front of the customer’s house at dawn.
Sebastien Deguy founded Allegorithmic in 2002 to develop the ideas in his award-winning doctoral thesis, completed just a year earlier. As CEO, he led Allegorithmic in becoming a market leader that is a critical component in the production workflows for games, film and tv, retail and marketing, and other industries. When Allegorithmic joined Adobe in January 2019, Deguy took on the position of VP, 3D and Immersive.
Sungjin Choi is Executive Director of Korea Startup Forum, the country’s biggest consortium of over 1,400 startups. He has served as Hea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Division at Daum Communication, Secretary General of Korea Internet Corporations Association and Chairpers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of Jeju, taking the initiative in promoting an innovative ecosystem for the IT & Startup industry.
김수진 상무이사는 에임메드 상무이사로 재직중이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박사를 수료, 정신건강의학과 전임의를 수료하여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초빙교수를 역임했다. 뿐만 아니라 스탠포드 의과대학 뇌과학 연구센터(Center for Interdisciplinary Brain and Science Research) 초빙강사로 역임한 경력이 있다.
Kim Sujin is a Managing Director at AIMMED. She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obtained her PhD in psychiatry at the same school, completed a fellowship in neuropsychiatry, and was a clinical visiting professor of neuropsychiatry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Kim also was a visiting instructor at the Center for Interdisciplinary Brain Sciences Research at th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비즈니스 분석의 세계적 권위자 시난 아랄(Sinan Aral) 교수는 유수의 수상경력을 갖고 있는 연구자이며 창업가이자 벤처캐피탈리스트이다. 그는 MIT에서 경영학, 마케팅, IT 및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비드 오스틴 교수(David Austin Professor)로 재직 중이며 MIT 디지털경제연구소장(IDE)이자 Manifest Capital의 설립 파트너이다. 초기 소셜 커머스 분석 기업 중 하나인 SocialAmp (2012년 머클에 매각)와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이 최초의 “사회 운영시스템(Social Operating System)”이라 부른 소셜 플랫폼 Humin (2016년 틴더에 매각)에서 수석 과학자로 재직했다. 아랄 교수는 현재 앨런 튜링 연구소, 런던의 국립데이터과학연구소(British National Institute for Data Science), 노르웨이 베르겐의 책임 있는 미디어 기술 및 혁신을 위한 센터(Center for Responsible Media Technology and Innovation) 및 브라질 첫 디지털은행 C6 Bank의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아랄 교수의 연구는 Microsoft Faculty Fellowship, PopTech Science Fellowship, 미국 국립과학재단 커리어 어워드, 풀브라이트 장학금 및 MIT 슬론경영대학원 최고의 교육우수상인 제이미슨 우수교육 어워드(Jamieson Award for Teaching Excellence)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2014년 아랄 교수는 “40세 이하 세계 상위 40위 경영대학원 교수(World’s Top 40 Business School Professors Under 40)”에 올랐다. 2018년에는 헝가리 부다페스트 Rajk László 대학의 Herbert Simon Award를 역대 가장 어린 나이로 수상했다. 같은 해 그의 가짜 뉴스 온라인 전파에 관한 연구가 사이언스(Science) 표지를 장식하며 모든 학문 통틀어 그 해 두번째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 논문이 되었다. 아랄 교수의 TED 강연 “거짓 정보의 시대, 우리는 어떻게 진실을 보호할 수 있을까”는 9개월만에 2백만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우리 시대의 거짓 정보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아랄 교수의 첫 저서인 The Hype Machine은 와이어드(WIRED)의 2020년 AI에 관한 최고의 책, 2020 Porchlight 출판사 최고의 “빅 아이디어 및 새로운 관점(Big Ideas and New Perspectives)” 분야 도서 및 BookAuthority의 2021년 기술 및 경제 관련 최고의 필수도서 등으로 선정되며 순식간에 필수도서가 되었다. 아랄 교수는 MIT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LSE 런던정경대학교 및 하버드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트위터 @sinanaral 및 인스타그램 @professorsinan으로 활동한다.
Director of MIT Initiative on the Digital Economy,
Professor of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Sinan Aral a global authority on business analytics; award-winning researcher; entrepreneur and venture capitalist. He is the David Austin Professor of Management, Marketing, IT and Data Science at MIT, Director of the MIT Initiative on the Digital Economy (IDE) and a Founding Partner at Manifest Capital. He was the Chief Scientist at SocialAmp, one of the first social commerce analytics companies (until its sale to Merkle in 2012) and at Humin, a social platform that the Wall Street Journal called the first “Social Operating System” (until its sale to Tinder in 2016). He is currently on the Advisory Boards of the Alan Turing Institute, the British National Institute for Data Science in London, the Center for Responsible Media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Bergen, Norway and C6 Bank, one of the first all-digital banks of Brazil. His research has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the Microsoft Faculty Fellowship, the PopTech Science Fellowship, an NSF CAREER Award, a Fulbright Scholarship and the Jamieson Award for Teaching Excellence (MIT Sloan’s highest teaching honor). In 2014, he was named one of the “World’s Top 40 Business School Professors Under 40.” In 2018, he became the youngest ever recipient of the Herbert Simon Award of Rajk László College in Budapest, Hungary. In the same year, his article on the spread of false news online was published on the cover of Science and becam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scientific publication of the year in any discipline, and his TED talk on “Protecting Truth in the Age of Misinformation,” which received over two million views in nine months, set the stage for today’s modern solutions to the misinformation crisis. Sinan’s first book, The Hype Machine, which was named a 2020 Best Book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WIRED, a 2020 Porchlight Best “Big Ideas and New Perspectives” Book Award Winner and among the Best New Technology Books and Best New Economy Books to Read in 2021 by BookAuthority, became an instant classic. Sinan earned his PhD at MIT and completed his Master’s degrees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at Harvard. You can find him on Twitter @sinanaral and on Instagram @professorsinan.
Director Kinam Hong worked as head of HR at Bucketplace (O!HOUSE), head of HR at Toss Lab (JANDI), and global search firm Korn Ferry International Korea, and has a bachelor’s degree in industrial & systems engineering from KAIST.
구글의 마음챙김 기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인 Search Inside Yourself(내면검색프로그램)을 한국기업들에 도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국내 최초 마음챙김 명상앱인 마보를 만들었다 . 실리콘 밸리에서 시작된 마음챙김 가치 기반 컨퍼런스 Wisdom 2.0 의 한국 총괄 디렉터이기도 하다. 마음챙김 명상을 넘어 마음챙김하는 삶을 살고 싶다는 마음으로, 마음이 각박한 한국인들에게 마음챙김 명상을 통해 온전한 행복을 전하는 것을 꿈꾸고 있다.
Starting with the introduction of Google’s mindfulness-based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Search Inside Yourself to Korean companies, she created Mabo, the first mindfulness meditation app in Korea, to promote mindfulness meditation to more people. She is also Korea’s General Director of Wisdom 2.0, a mindfulness value-based conference that started in Silicon Valley. With the desire to go beyond mindfulness meditation and live a mindful life, she dreams of delivering sound happiness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to Koreas living in this rough world.
라프 코스터(Raph Koster)는 게임 업계 전반에서 그 공로를 인정받는 베테랑 게임 디자이너이다. 울티마 온라인(Ultima Online)과 스타워즈: 갤럭시즈(Star Wars Galaxies) 등 여러 대작 게임의 총괄 디자이너 및 디렉터였으며 소니와 디즈니에서 임원으로 재직했다. 엑시트를 성공적으로 이룬 벤처 창업가이자 다수의 특허 기술 발명가이기도 한 코스터는 페이스북 게임에서부터 구글의 AR 연구 등 광범위한 프로젝트에 디자인, 저술, 예술, 사운드트랙 음악 및 프로그래밍 등의 형태로 참여해왔다.
코스터는 게임 디자인에 대한 세계적 사상가로 평가받으며 전세계 컨퍼런스에 연사로 초청되는 인사이다. 그의 저서 <재미 이론(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은 게임 업계의 교과서와 같은 필수 도서이다. 2012년 코스터는 게임개발자 컨퍼런스 온라인(Game Developers Conference Online)에서 온라인 게임 레전드(Online Game Legend)로 선정되었다.
Raph Koster is a veteran game designer who has been professionally credited in almost every area of the game industry. He’s been the lead designer and director of massive titles such as Ultima Online and Star Wars Galaxies; an executive at Sony and Disney; a venture-backed entrepreneur with a successful exit; the inventor of patented technologies; and he’s contributed design work, writing, art, soundtrack music, and programming to much more, ranging from Facebook games to AR research with Google.
Koster i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world’s top thinkers about game design, and is an in-demand speaker at conferences all over the world. His book 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is one of the undisputed classics in the games field. In 2012, he was named an Online Game Legend at the Game Developers Conference Online.
임세라 대표이사는 에듀테크 기업 주식회사 마블러스를 2015년 창업하였습니다. SKYEDU에서 영어 강사로 수업하면서 기술로 학력 격차를 해소한다는 목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를 졸업하고 KAIST 경영대학원 SE MBA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휴먼컴퓨터인터랙션 박사과정 중입니다. 전자 통신 산업 AI 융합 전략 최고경영자 과정을 수료하였고,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콘텐츠임팩트 감성 인공지능 전문가 및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바 있습니다. 마블러스는 글로벌 에듀테크 스타트업으로 나아간다는 비전을 가지고 자체 기술 MEE와 메타버스 교육 서비스 MOON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era Lim is the CEO of MARVRUS, an EduTech company found in 2015. Her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in SKYEDU made her dream of narrowing the education gap with technologies. She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with a bachelor’s degree in political diplomacy and a master’s degree in SE MBA at KAIST Business School, and she is currently in Hanyang University’s Ph.D. Human-Computer Interaction. She completed the AI convergence strategy CEO course in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participated in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1 Contents Impact. MARVRUS is developing its core technology MEE and a metaverse Edu-platform MOON with a vision of moving forward as a global EduTech startup.
Before joining TikTok, Jade worked on privacy public policy at the GSMA, a trade association representing mobile network operators worldwide, and at Promontory Financial Group, an IBM company, where she advised clients on compliance with privacy and data protection laws and regulations.
Between 2006 and 2014, Jade held a number of roles within the U.S. government, including Senior Advisor for Internet Policy at the Department of Commerce’s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NTIA), and Director, Internet Public Policy at the State Department. In 2010, Jade served as the head of the U.S. delegation to the OECD Working Party on Information Security and Privacy. She is an IAPP Fellow of Information Privacy, holds the CIPP/E/G and CIPM certifications, and is a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rofessional (CISSP).
Pankaj Agarwal(판카즈)은 삼성벤처투자의 자금 지원으로 설립된, 교육전문 기술회사인 태그하이브의 설립자겸 CEO입니다. 한국에 본사와 인도에 지사를 두고, 한국과 인도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태그하이브의 최우선 임무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참여와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입니다.
판카즈 대표는, 50개가 넘는 국제특허를 출원하였으며, 2017년 MIT Technology Review에서 “35세 미만의 혁신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포춘지 선정, “Fortune India 40 Under 40” 목록에 이름을 올리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태그하이브를 창업하기 전, 삼성전자에서 10년간 근무하는 동안에 하드웨어 엔지니어, 혁신전략담당 매니저, CTO의 고문 등으로 다양하게 활동하며 전문 역량을 발휘하였습니다. 판카즈 대표는, 재한 IIT출신 동문회의 창립자이자 회장이며, 주한 인도상공회의소의 이사입니다. 특별히 훈련된 마술사이며, 한국어 또한 유창합니다.
인도 IIT Kanpur에서 전자공학 학사, 서울대학교 전자공학 석사,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습니다.
Mr. Pankaj Agarwal is the Founder & CEO at TagHive, a Samsung funded edtech venture with operations in South Korea and in India. He is an inventor on over 50 international patents and was on the list of Fortune India 40 Under 40 in 2021. He was also one of the 10 winners of MIT TR35 India in 2017.
Mr. Agarwal is the founder and Chairman of the IIT Alumni Association of South Korea. He is also a trained magician and is fluent in Korean. He has a Bachelor of Technology degree in EE from IIT Kanpur, M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n MBA from the Harvard Business School.
Hyeong Seok Kim Experienced head of digital with a demonstrated history of working in Media and ICT industry. Skilled in Biz Development, Digital Marketing, Product Management and User Experience.
박선영 대표는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세브란스 메디컬 ID인 라이프태그 기획, 스마트 응급의료 서비스인 SEMS 기획, 삼성화재 애니카 다이렉트 UX 전략기획, 국내 최초 다이렉트 동부 UX 전략기획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으며 현재 뉴베이스 대표를 역임하고 있다.